초대의 글 일정표 프로그램 사전등록 초록접수 Special Lectures 호텔및교통 행사장안내
 
Joint symposium May. 10 (15:00~17:00)
Therapeutic modalities to correct mitochondrial dysfunction-KSMCB mitochondrial section & KSMRM joint symposium 좌장: 이홍규, 이문규
Organizer: 한진 (인제대 생리학교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생존과 사멸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퇴행성 신경질환, 췌장소도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이상, 비만, 당뇨병, 동맥경화성 혈관질환 등은 특이하게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을 동반하고 있다. 동물 모델 및 세포연구를 통해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질환 발생사이의 관련성이 분자적 수준에서 밝혀지고 있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에 의해서 발생되는 질환에 대한 치료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재는 1st entry drug이 없는 상태이다.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무한한 성장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당뇨병학회-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미토콘드리아 분과-대한미토콘드리아연구의학회 공동 심포지엄에서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조절에 대한 다학제간 최신 연구를 소개한다. 미토콘드리아 기능회복을 통한 당뇨병 및 대사성 증후군 치료전략을 논의하는 토론의 장이 될 것이다.

김상욱
(포항공대 생명과학부)
Network biology approaches to find mitochondrial disease genes and diabetes
comorbidity
이철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ypotensive effect by activation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via
modualation of eNOS activity
김영미
(경희대 생리학교실)
Cell-based screening of novel diabetic therapeutics using cells with H2AX knock-down-mediated mitochondrial deficits
이인규
(경북의대 내과)
Prevention of vascular calcification via control of mitochondrial function
송민호
(충남의대 내과)
The cotranslational regulation of OXPHOS polypeptides in mammalian mitochondria and its potential implications in 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insulin resistance
Sookja K. Chung
(Th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Exchange protein directly activated by cAMP 1 is involved in induction of brown adipose tissue in white adipose tissue
윤계순
(아주대 생화학교실)
Panel discussion
박규상
(연세대 생리학교실)
Panel discussion
In-depth symposium May. 10 (15:00~17:00)
Adipokines in diabesity 좌장: 유재명, 박중열
Organizer: 송대규 (계명대 생리학교실)

비만 정도를 육안으로 판별하게 했던 신체의 지방조직이 단순한 에너지 저장소 뿐 아니라 인체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조직이란 사실이 알려진 이래 많은 adipokine들이 새로이 발견되고, 그 기능들이 밝혀지고 있으나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본 세션에서는 비만, 당뇨병과 관련된 중요한 adipokine들의 기능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연세의대 강은석 교수는 항비만, 항당뇨병호르몬으로 알려진 leptin 기전의 임상적 응용에 관하여, 호서대 박선민 교수는 최근 회자되는 adipokine들의 베타세포 인슐린 분비조절에 대한 기전을, 영남대 김용운 교수는 비만환자에게 초래되는 leptin 저항성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구대 윤종원 교수는 비만 및 당뇨병과 관련된 proteomic approach에서 관련 adipokine의 일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강은석
(연세의대 내과)
Clinical applications of leptin
박선민
(호서대 식품영양학과)
The regulation of insulin secretion through adipokines
김용운
(영남대 생리학교실)
Improvement of leptin resistance
윤종원
(대구대 생명공학과)
Proteomic approach for mining biomarkers in diabetes and obesity
Meet the experts May. 12 (13:30~15:30)
Management of diabetes in the adolescents 좌장: 최동섭, 양세원
Organizer: 고경수 (인제의대 내과)

본 세션은‘청소년기 당뇨병의 관리’주제로 소아청소년 당뇨병 및 제1형 당뇨병에 저명하신 고려의대 최동섭 교수와 서울의대 양세원 교수 두 분을 좌장으로 각 소주제에 대한 해당 분야 전문가의 기조 강의를 들은 후 전체적인 토의 시간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주제는 최근 미디어에도 발표된 바 있지만 소아청소년기부터 문제될 수 있는 대사증후군데이터에 관하여 인제의대 박미정 교수가 강의할 예정이며, 두 번째 주제인 인슐린 치료는 서울의대 신충호 교수가 소아청소년기의 인슐린 치료 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강의할 예정이다. 이어서 소아청소년 당뇨병의 psychosocial consideration에 대해 계명대 사회사업실의 이명숙 선생이 강의 하실 예정이다. 네 번째, 다섯 번째 주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오래 전 시작되었고 또 일부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지만 소아당뇨 캠프와 제1형 당뇨병 등록사업에 관하여 전문가 강의와 의견을 도출하는 시간을 가지며, 강의는 각각 경북의대 고철우 교수와 한양의대 박용수 교수가 진행할 예정이다. 본 세션을 통하여 환자 수는 적지만 평생 안고 가야 할 소아청소년 당뇨병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함께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박미정
(인제의대 소아청소년과)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신충호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Insulin treatment
이명숙
(계명대 사회사업실)
Psychosocial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and education for diabetes
고철우
(경북의대 소아청소년과)
Daegu-Kyungpook diabetes camp (1992-2011)
박용수
(한양의대 내과)
The importance of diabetes registries and clinical biology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보험법제 위원회 May. 12 (13:30~15:00)
POCT (point of care testing), a step to future 좌장: 이관우, 윤석기
Organizer: 보험법제 위원회

이번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보험법제위원회에서는 최근 회원들의 중요한 관심 주제인 현장검사(point of care testing, POCT)에 관련된 내용을 준비하였다. 당뇨병환자 관리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검사인 당화혈색소, 케톤 검사에 대한 현장검사는 진단 및 치료 결정에 신속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보험법제위원회 세션에서는 당뇨병 환자 관리에 있어서 현장검사의 중요성, 또한 현장검사를 위한 적정한 정도 관리,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현장검사에 대한 보험급여 전망에 대한 연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며 발표 후 패널리스트와 함께 심도 있는 토의가 진행이 될 예정이다.

김수경
(차의과학대 내과)
The importance of POCT in diabetes management
송정한
(서울의대 진단검사의학과)
Recommendations for POCT quality control focusing on HbA1c
박민정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Prospects for medical insurance coverage of HbA1c, ketone test using POCT in Korea
강지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Panel discussion
김철식
(한림의대 내과 )
Panel discussion
이지현
(대구가톨릭의대 내과)
Panel discussion
박석오
(광명성애병원 내과)
Panel discussion
임신성 당뇨병 연구회 May. 12 (13:30~15:00)
Basic and clinical approach of gestational DM 좌장: 조용욱, 장학철
Organizer: 임신성 당뇨병 연구회

35 세 이상의 고령임산부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이 경우 임신성 당뇨병의 빈도가 35세 미만에 비해 약 2배 증가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미래의 당뇨병환자가 될 임산부, 태아라는 두 명의 환자를 동시에 보는 것이기에 산부인과 의사들뿐 아니라 당뇨병 전문의들에게 핫 이슈라고 생각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team approach가 중요한 질환임을 감안하여 본 세션에서는 임신성 당뇨병의 기초 연구 분야에서부터 산부인과, 내과, 소아청소년과가 한 팀이 되어 강의를 준비했다. 임신 중 췌장 베타 세포양이 증가하여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베타세포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리학적 기전은 잘 규명되어 있지 않다. 기초 연구로 KAIST 김하일 교수가 임신기간 동안 베타세포의 정상적인 적응과정에서 생리학적 기전에 관여하는 세로토닌의 역할을 토론하고자 한다. 임상 연구로 울산의대 심재윤 교수가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과 분만 전의 위험 요소에 관해 짚어보고, 관동의대 김성훈 교수가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가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양학적 요소에 대해 발표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의대 정혜림 교수가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비만과 내당능의 차이에 관해 알아보고 예방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김하일
(KAIST)
Adaptation of β-cell to pregnancy
심재윤
(울산의대 산부인과 )
Diagnosis, screening, & antepartum risk factors for GDM
김성훈
(관동의대 내과 )
Nutritional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2DM in women with GDM
정혜림
(서울의대 소아청소년과)
Long-term outcome in offspring of mothers with GDM
노인당뇨병 연구회 May. 12 (13:30~15:00)
Diabetes in elderly Korean 좌장: 유형준
Organizer: 노인당뇨병 연구회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는 비교할 대상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당뇨병에서도 노인환자군의 급속한 증가는 기존의 청장년층 환자에서와는 다른 고민들을 요구하고 있다. 노인에서 당뇨병관리는 노인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좀 더 차별화 된 접근이 요구되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 연구회에서는 'Diabetes in elderly Korean' 이라는 제목으로 이에 대한 고민을 나누는 시간을 준비했다. 한림의대 유성훈 교수는 이질적인 요소들과 다양한 특성의 혼합인 ‘노인증 후군’에 대한 소개와 함께 당뇨병과의 연관성 및 그에 대한 관리에 대해서, 조선의대 김진화 교수의 발표에서는‘제4기 국민건강영양 조사자료’를분석하여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당뇨병관리 현황을 소개하고 노인에서 효율적인 당뇨병 관리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서울성애병원 김정한 교수는 노인당뇨병환자에서 만성신질환의 현황과 위험인자, 혈당조절과의 관계 등에 대해서 전반적인 리뷰를 해 주실 것이다.

유성훈
(한림의대 내과)
Diabetes and geriatric syndrome
김진화
(조선의대 내과)
The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elderly Koreans
김정한
(서울성애병원 내과)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