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혈관연구회는 최근 한국 성인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률과 관리 현황에 대한 “당뇨병 심혈관질환 FACT SHEET 2024”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심혈관질환 발생률의 변화
2019년 기준, 30세 이상 한국 성인 2형당뇨병 환자의 주요 심혈관질환 연령 및 성별 표준화 발생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허혈심장질환: 18.9명/1,000명
- 허혈뇌졸중: 5.5명/1,000명
- 심부전: 21.2명/1,000명
- 말초동맥질환: 2.5명/1,000명
지난 10년 동안 허혈심장질환, 허혈뇌졸중, 말초동맥질환의 발생률은 감소했지만, 심부전 발생률은 증가했습니다.
당뇨병 심혈관질환 환자의 관리상태
심혈관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 중 혈당, 혈압, 지질관리가 목표치에 모두 도달한 경우는 4.96%에 불과했습니다. 65세 이상의 환자가 65세 미만 환자들보다 혈당 관리를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약물 처방 경향
스타틴 처방률은 지난 6년간 꾸준히 증가했지만, 고강도 스타틴 처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또한, SGLT2억제제와 GLP-1수용체작용제 처방률도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 2019년 기준, 허혈심장질환과 허혈뇌졸중 환자 중 스타틴 처방률:
- 중강도 스타틴: 허혈심장질환 87.39%, 허혈뇌졸중 87.1%
- 고강도 스타틴: 허혈심장질환 8.84%, 허혈뇌졸중 9.15%
* 2019년 기준, SGLT2억제제 및 GLP-1수용체작용제 처방률:
- SGLT2억제제: 허혈심장질환 11.87%, 허혈뇌졸중 7.10%, 심부전 11.05%
GLP-1수용체작용제: 허혈심장질환 1.08%, 허혈뇌졸중 0.79%, 심부전 1.06%
이번 FACT SHEET는 한국 성인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발생률 변화를 심도 있게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으며, 심혈관질환 발생률 추이와 관리 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당뇨병 관리의 발전과 공공 보건 정책 지원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당뇨병 연구와 진료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당뇨병 환자의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FACT SHEET 2024’ 발간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신 당뇨병 혈관연구회 권혁상 회장님과 회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