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E- Newsletter VOL 010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엽

IPA


우선 귀중한 상을 주신 대한당뇨병학회 간행위원회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한 해 간 몇 가지 작은 연구들을 논문으로 출판하게 되었는데 그중 개인적으로 흥미롭고 의미 있었던 연구를 한 가지 선정하여 소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Risk of developing chronic kidney disease in young-onset Type 2 diabetes in Korea라는 제목으로 2023 Scientific report에 출판한 논문입니다. 최근 40세 미만 젊은 환자들에서 당뇨병 환자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환자군은 높은 비만도, 낮은 인슐린 분비능, 그리고 낮은 순응도 등 병태생리학적, 사회적 특징을 갖고 있는데 젊은 당뇨병 환자군의 당뇨 합병증, 특히 신장 합병증 발병 위험도에 대해서는 그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40세 이전과(Young onset diabetes, YOD) 이후(Late onset diabetes, LOD) 당뇨병이 새로 진단된 환자를 모아 만성콩팥병증(GFR ≤ 60 미만 2회 이상으로 정의) 위험도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총 84,384 명의 새로 진단된 당뇨병 환자를 분석하였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16 년이었습니다. 분석 결과 특이적 변수들을(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신체활동, 사회경제적 수준, 고혈압, 고지혈증, 아스피린 사용, 공복 혈당, 인슐린, 당뇨 약제 사용 개수) 보정하고도 만성콩팥병증의 발병 위험이 YOD 환자군에서 1.70 배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95% 신뢰구간 1.15–2.51). 새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비슷한 유병 기간 동안 만성콩팥병증을 많은 숫자의 환자 수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장점이고 이를 통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YOD 환자에서 신장 합병증 평가와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에 기회를 주신 양여리 교수님, 한경도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드리고 앞으로 학회와 DMJ에 공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