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세계적으로 비만이 유행하면서 비만 관련 합병증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비만 관련 합병증 중 현재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질환으로 지방간 질환을 꼽을 수 있습니다. 지방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진 만성 간 질환 중 하나이며, 간 섬유화 및 간세포 암종을 유발하고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등 다른 대사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당뇨병학회 지방간연구회에서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간질환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8년간 20세 이상의 일반 한국 성인에서의 지방간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방간질환의 증가는 남녀 모두에서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합니다. 특히 여성에서보다 남성에서 지방간지방의 유병율 증가가 두드러집니다. 또한 지방간질환의 중등도를 나누어보았을 때, 경증보다 중증의 지방간질환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나이 대 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 노인에서보다 20-39세의 청년층과 40-64세의 중장년층에서 지방간질환의 유병율이 높았지만 나이에 따른 유병율의 증가 폭은 청년층에서 가장 두드러집니다. 지방간질환은 당뇨병과 연관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혈당 상태에 따른 지방간질환의 유병율도 확인해보았습니다. 지방간질환의 유병율은 정상인에서 공복혈당장애, 2형 당뇨병군으로 갈수록 증가 하며, 모든 군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2형 당뇨병군에서 성별에 따른 지방간질환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유병율이 높았습니다. 나이에 따른 분석해보면, 20-39세의 청년층에서 지방간질환의 유병율이 가장 높았으며, 65세 이상 노인군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지방간의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간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남성, 2형 당뇨병, 청년층에서 그 증가가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군에서 지속적인 지방간질환에 대한 관심과 환자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4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위와 같은 의미 있는 연구를 발표하고 상을 받게 되어 영광입니다. 또한 좋은 연구를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지방간연구회 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